728x90
반응형
SMALL
추상 클래스
몸체 없는 메소드를 포함한 클래스
선언부에 abstract 키워드 사용
// 추상클래스 표현식
[접근제한자] abstract class 클래스명() {}
몸체가 없는 메소드는 추상메소드라고 하고 상속 시 반드시 구현해야 하는 오버라이딩이 강제화되는 메소드이다. 추상 메소드 또한 선언부에 abstract 키워드를 사용하고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인스턴스를 생성할 수 없다.
// 추상메소드 표현식
[접근제한자] abstract 반환형 메소드명(자료형 변수명);
추상 클래스의 특징
- 미완성 클래스로 자체적으로 객체 생성 불가 -> 반드시 상속하여 객체 생성 가능
- abstract 메서드가 포함된 클래스는 반드시 abstract 클래스(abstract 메서드가 없어도 abstract 클래스 선언 가능)
- 클래스 내에 일반 변수, 메서드 포함 가능
- 객체 생성은 안되지만 참조형 변수 타입으로는 사용 가능
추상 클래스의 장점
추상 클래스는 일관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꼭 필요한 기능을 강제화하여 하위 클래스가 이를 반드시 구현하도록 유도한다. 이를 통해 코드의 구조를 명확히 정의하고, 중복 코드 제거 및 유지보수성 향상이 가능하다. 또한, 일부 메서드를 미리 구현하여 재사용할 수 있어 코드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추상 클래스 구현하기
- 메서드에 구현 코드가 없으면 abstract로 선언합니다.
- abstract로 선언된 메서드를 가진 클래스는 abstract로 선언합니다.
- 모든 메서드가 구현된 클래스라도 abstract로 선언되면 추상 클래스로 인스턴스화 할 수 없습니다.
- 추상 클래스의 추상메서드는 하위 클래스가 상속하여 구현합니다.
- 추상 클래스 내의 추상 메서드 : 하위 클래스가 구현해야 하는 메서드입니다.
- 추상 클래스 내의 구현된 메서드 : 하위 클래스가 공통으로 사용하는 메서드 (필요에 따라 하위 클래스에서 재정의 합니다.)
Computer.java
public abstract class Computer {
// 추상 클래스는 상속을 위한 클래스
public abstract void display();
public abstract void typing();
public void turnOn() {
System.out.println("전원을 켭니다.");
}
public void turnOff() {
System.out.println("전원을 끕니다.");
}
}
Desktop.java
public class Desktop extends Computer {
// Desktop 클래스를 abstract를 사용하여 추상 클래스로 선언할 수 있습니다.
// 하지만 추상 클래스로 선언하게 되면 이 클래스는 new를 할 수 없습니다.
// 추상 클래스는 상속을 하기 위해서 만든 클래스입니다.
// 추상 클래스안에 구현하는 메서드들은 일부는 구현을 할 수 있도 있고 일부는 구현을 안할 수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는 다 안할 수도 있습니다.
// 이 클래스는 상속만을 하기 위한 클래스입니다.
@Override
public void display() {
System.out.println("Desktop display");
}
@Override
public void typing() {
System.out.println("Desktop typing");
}
@Override
public void turnOff() {
System.out.println("Desktop turnOff");
}
}
NoteBook.java
public abstract class NoteBook extends Computer{
@Override
public void display() {
System.out.println("NoteBook display");
}
}
MyNoteBook.java
public class MyNoteBook extends NoteBook {
@Override
public void typing() {
System.out.println("MyNoteBook typing");
}
}
ComputerTest.java
public class ComputerTest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mputer desktop = new Desktop();
// Computer computer = new Computer(); error
desktop.display();
}
}
728x90
반응형
LIST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 자바 InputStream(바이트 단위 스트림) (0) | 2025.02.17 |
---|---|
[JAVA] 자바의 입출력스트림 (0) | 2025.02.17 |
[JAVA]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의 4가지 특징 (OOP의 4가지 특징) (0) | 2025.02.14 |
[JAVA] 자바 - 객체 간의 상속의 의미 (0) | 2025.02.11 |
[JAVA] Java의 특징과 장단점 (1) | 2025.0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