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3일차 입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에 미리 약속한 규칙을 HTTP 프로토콜이라고 합니다.
HTTP 프로토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자료를 요청하는 것은 http요청(http request), 서버에서 응답해 클라이언트로 자료를 보내는 것은 http응답(http response)이라고 합니다. 이렇게 요청과 응답을 통해 메시지를 주고 받는데 이 메시지에는 여러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보내는 요청 메시지는 요청 헤더와 요청 본문으로 구성됩니다.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보내는 응답 메시지도 응답 헤더와 응답 본문으로 구성됩니다.
중요한 헤더 정보
요청 URL
서버에게 어떤 정보를 보내달라고 요구하는 URL을 요청 URL이라고 합니다.
요청 메서드
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 정보를 보내면서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 알려줍니다. 요청방식이라고도 합니다.
요청 메서드 | 설명 |
GET 메서드 |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올 때 사용합니다. |
POST 메서드 |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
PUT 메서드 | 서버에 있는 데이터를 수정할 때 사용합니다. |
DELETE 메서드 | 서버에서 데이터를 삭제할 때 사용합니다. |
상태코드
클라이언트에서 보낸 요청의 성공 여부를 3자리 숫자로 알려주는 코드입니다.
코드 | 설명 |
200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었습니다. |
201 | 요청이 성공적으로 처리되어 새로운 자료가 생성되었습니다. |
404 | 해당 데이터를 찾을 수 없습니다. |
500 | 서버에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
503 | 요청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습니다. |
원격주소
172.217.161.228:443
172.217.161.228 - 서버의 IP 주소
443 - 포트번호
IP 주소와 포트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중간에 소켓이라는 통로가 필요합니다. 소켓은 IP 주소와 포트를 통해 서로 식별합니다.
IP 주소
인터넷 프로토콜 주소를 줄여서 IP주소라고 합니다.
google.com, naver.com 등의 사이트 주소를 도메인이라고 하고, 도메인 이름을 IP주소로 변환해주는 서버를 DNS(Domain Name Server)라고 합니다.
포트
포트는 네트워크를 통해 넘겨받은 자료를 정확히 어느 위치로 배달할 것인지 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기본 번호로 정해져 있는 포트번호
번호 | 기능 |
20, 21 | FTP(파일 전송 프로토콜) |
25 | SMTP(이메일 발송) |
53 | DNS 서버 |
80 | 웹(HTTP) |
110 | POP3(이메일 수신) |
443 | HTTPS |
'Node.js' 카테고리의 다른 글
[Node.js] 노드제이에스 - 요청 객체와 응답 객체 (0) | 2024.02.05 |
---|---|
[Node.js] 노드제이에스 - http 모듈로 서버 만들기 (0) | 2024.02.05 |
[Node.js] 노드제이에스 - FS 모듈. 버퍼와 스트림 (0) | 2024.02.04 |
[Node.js] 노드제이에스 - fs모듈. 디렉터리 관리하기 (0) | 2024.02.03 |
[Node.js] 노드제이에스 - FS 모듈. 파일 관리하기 (0) | 2024.0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