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리터럴 2

[ORACLE] SQL - SELECT문

DQL(Data Query Language) - SELECT 데이터를 조회하는 SQL문으로 특정 테이블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다. 그렇게 조회된 결과를 Result Set이라고 한다.표현법SELECT 조회할 컬럼 정보 (컬럼명, 리터럴, 함수식, 연산식, * 등)FROM 테이블명WHERE 조건식GROUP BY 그룹화HAVING 그룹화 후 그룹에 대한 조건ORDER BY 정렬조건  SELECT문에서 SELECT 절과 FROM절을 제외한 나머지 절은 생략이 가능한 절들이다. 하지만 순서가 바뀌면 안 된다.SELECT문 각 절의 순서1 FROM  가장 먼저 조회할 테이블을 찾는다.2 WHERE  해당 테이블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기 전 조건을 설정한다.3 GROUP BY 그룹화를 설정한다.4 HAVING  그룹..

데이터베이스 2025.03.12

[JAVA] 자바 - 상수, 리터럴, 형 변환

변하지 않은 상수와 리터럴, 변수의 형 변환 상수 상수란 변수와 마찬가지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상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변경할 수 없습니다. 원주율, 1년 12개월 등을 상수로 할 수 있습니다. 상수를 사용하면 변하지 않는 값을 반복하여 사용하여 사용할 때 의미 있는 문자로 인식하기 쉽고 변하더라도 선언한 부분만 변경하면 되므로 여러 번 수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상수 선언하기 final 예약어를 사용하여 선언합니다. 상수는 선언과 동시에 반드시 초기화해야 합니다. 예제 final int MAX_NUM = 100; final int MIN_NUM; MIN_NUM = 0; System.out.println(MAX_NUM); System.ou..

Java 2021.11.16
728x90
반응형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