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SMALL
HTML(Hypertext Markup Language, 하이퍼텍스트 마크업 언어)은 우리가 보는 웹페이지가 어떻게 구조화되어 있는지 브라우저로 하여금 알 수 있도록 하는 마크업 언어이다.
HTML은 제목, 단락, 목록 등과 같은 본문을 위한 구조적 의미를 나타내는 것뿐만 아니라 링크, 인용과 그 밖의 항목으로 구조적 문서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 HTML의 기본구조
<!DOCTYPE html> <!-- 문서 유형 정의 -->
<html lang="ko">
<!-- 문서 전체를 감싸는 태그. 문서의 시작과 끝을 표시 -->
<!-- lang 속성 : 문서 고유 언어 설정 -->
<head>
<!-- 문서의 머리 부분. 각종 정보/설정을 할 수 있는 영역 -->
<meta charset="utf-8"> <!-- 인코딩 설정 -->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 viewport : 브라우저의 웹 콘텐츠를 볼 수 있는 창의 영역 -->
<meta name="generator" content="VS Code"> <!-- 문서 작성 시 사용된 프로그램 -->
<meta name="author" content="Seong Jun"> <!-- 문서 작성자 -->
<meta name="description" content="HTML First Study"> <!-- 문서 설명 -->
<title>html_basic</title> <!-- 문서 제목 태그 : title -->
</head>
<body>
<!-- 실제로 브라우저에 표시되는 영역-->
<h2>임성준</h2>
@@@@
<p>@@@</p>
</body>
</html>
- <!DOCTYPE html>
- HTML5라는 의미입니다. DOCTYPE 선언은 HTML 문서에서 <html> 태그를 정의하기 전에 가장 먼저 선언되어야만 한다.
- <html></html>
- html파일의 시작과 끝을 의미한다.
- <head></head>
- html파일의 머리부분으로 문서의 정보를 나타내고 내/외부 파일을 연결하는 코드를 작성하는 부분이다.
- <body></body>
- html파일의 몸통부분으로 문서의 내용을 작성하는 부분이다.
- <!-- -->
- html에 주석을 삽입할 때 사용한다.
- 주석이란 소스 코드에 개발자가 해당 코드 부분의 이해를 돕는 설명을 추가하거나 디버깅을 위해 삽입한 구문을 의미한다.
- 주석 태그는 브라우저가 해석하지 않으므로 브라우저 화면에서는 확인할 수 없다.
- 개발자 본인이나 다른 사람이 나중에 소스 코드를 수정하거나 분석하려고 할 때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 HTML의 요소 표현
- html의 요소들은 '<'와 '>'로 둘러싼 태그표현을 이용해서 시작을 나타내고 '<'와 '/>'로 둘러싼 태그표현을 이용해서 끝을 나타낸다.
- <h1 id="title">HTML</h1> : <시작태그 속성명="속성 값">요소내용</종료태그>
- 속성 값은 여러 개 일 수 있고 시작태그와 종료태그를 작성하는 것이 아니고 <태그명 /> 혹은 <태그명>으로 작성하는 경우도 있다. (요소의 내용이 없는 경우)
- ex)
<img src="./로고.jpg" alt="로고"/>, <hr>
- 요소 안에 여러 개의 요소를 작성할 수 있습니다.
<h1><a href="#">로고</a></h1>
태그
- <h1> ~ <h6>
- <hr>, <br>
- <p>
- <strong>, <b></b>, <em></em>
728x90
반응형
LIST
'HTML'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 Table 태그 (6) | 2025.01.03 |
---|---|
HTML 요소의 표시 공간 (0) | 2021.11.07 |
리스트 (0) | 2021.10.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