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백준
- 입출력과 사칙연산
- 공부
- 노드제이에스
- 공부단
- 변수
- nodejs
- 자바
- 자바스크립트
- Java
- 타입스크립트
- do it!
- TypeScript
- JavaScript
- Node.js
- Python
- 상속
- Do it 공부단
- Do it! 자바스크립트 입문
- Do it! 공부단
- html
- 파이썬
- 운영체제
- Oracle
- 단계별로 풀어보기
- 백엔드 개발
- 배열
- 다형성
- SQL
- 형변환
- Today
- Total
목록nodejs (16)
성준이의 공부블로그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6일차 입니다. 상태코드와 err 객체 코드 메시지 설명 400 Bad Request 클라이언트 요청이 잘못되었거나 유효하지 않음 401 Unauthorized 권한이 없어 거절되었지만 인증을 다시 시도할 수 있음 403 Forbidden 권한이 없어 거절되었고 인증을 시도하면 계속 거절됨 404 Not Found 해당 데이터를 찾을 수 없음 500 Internal Server Error 서버에서 요청을 처리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 오류 처리를 위한 미들웨어 함수의 기본형 const errorHandler = (err, req, res, next) => { // err : 발생한 오류의 여러 정보가 담겨있음 // err.message : 오류 메시지를 나타..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6일차 입니다. 미들웨어란 요청과 응답의 중간에 있으면서 요청을 처리하거나 원하는 상태로 응답을 수정하는 함수를 미들웨어라고 합니다. 파싱 요청 안에 포함된 아이디와 비밀번호의 값을 애플리케이션에서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파싱이라고 합니다. 미들웨어의 역할 속성 설명 요청 전처리 요청이 서버에 도착하기 전에 실행하는 작업을 담당합니다. 라우팅 처리 라우트 코드를 좀 더 읽기 쉽고 관리하기 쉽도록 모듈화하는 라우터 미들웨어가 있습니다. 응답처리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을 보낼 때 자료를 적절한 형태로 변환하거나 오류를 처리하는 작업을 합니다. 애플리케이션 레벨 미들웨어 애플리케이션 단계에서 사용하는 미들웨어를 말합니다. const expres..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5일차 입니다. 라우팅 app.Method(요청url, 콜백함수) - Method : get, post, put, delete http 모듈 if(method === "GET" && url === "/") 아래와 같이 변경 express app.get("/", (req, res) => {...}) app.get("/", (req, res) => { // 루트경로에서 get 요청을 하면 그 뒤 오는 콜백함수를 실행하라는 의미 // res.status(200) // 응답 상태 코드를 200으로 설정 // res.send("Hello Node") // 응답객체 res의 send 함수를 사용하여 응답을 화면에 표시 // => 메서드 체이닝 res.status(2..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5일차 입니다. 익스프레스 노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백엔드 프레임워크입니다. 익스프레스의 기능 라우팅 미들웨어 템플릿 엔진 정적인 파일 지원 익스프레스와 노드몬 설치 npm install express npm install nodemon -g --save-dev 서버 코드를 계속 수정하면서 결과를 확인하려면 그때마다 서버를 종료한 후 재실행을 해야합니다. 이런 번거로운 과정을 편리하게 바꿔주는 패키지가 nodemon패키지입니다. 익스프레스 서버 만들기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 익스프레스 패키지 가져오기 const app = express() // express를 실행해서 app 서버 만들기 const port..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공부단 4일차 입니다. 프라미스 콜백함수을 계속 사용하다보면 콜백지옥에 빠집니다. 그래서 등장한게 Promise입니다. 노드 모듈에는 프라미스를 반환하는 함수가 따로 있습니다. 프라미스를 실행하고 처리한 결과가 성공이면 then(), 실패하면 catch(), 성공과 실패에 관계가 없을 때는 finally()를 사용합니다. (then()이나 catch()는 반환값이 프라미스이므로 프라미스를 계속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데 이것을 프라미스 체이닝이라고 합니다.) const fs = require("fs").promises fs.readdir("./05") .then(result => console.log(result)) .catch(err => console.log..

Do it! Node.js 프로그래밍 입문 4일차 입니다. 노드에서는 대부분의 작업을 비동기로 처리합니다. 이것은 노드가 논블로킹I/O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블로킹I/O 블로킹이란 코드 실행을 중간에 막는 것으로 코드 실행이 멈춘다는 뜻입니다. 동기함수를 사용하면 블로킹, 즉 코드 실행을 막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const fs = require("fs") const data = fs.readFileSync("./03/example.txt") // 블로킹 console.log(data) // 파일읽기 끝날때까지 대기 console.log("The End") 위에 코드는 간단해서 큰 차이를 못느낄 수도 있지만 서버를 사용할 때는 더 문제가 됩니다. const http = require('htt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