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자바
- 상속
- html
- SQL
- TypeScript
- 백엔드 개발
- Java
- 입출력과 사칙연산
- 형변환
- do it!
- Node.js
- Do it! 자바스크립트 입문
- 자바스크립트
- 공부단
- 공부
- 단계별로 풀어보기
- Do it! 공부단
- 배열
- 노드제이에스
- 운영체제
- 백준
- 변수
- 타입스크립트
- JavaScript
- nodejs
- 파이썬
- Oracle
- 다형성
- Python
- Do it 공부단
- Today
- Total
목록JavaScript (35)
성준이의 공부블로그

공부단 7일차-1입니다. 문서 객체 모델이란? DOM은 Document Object Model의 줄임말 입니다. DOM의 정의는 웹 문서의 모든 요소를 자바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조작할 수 있도록 객체를 사용해 문서를 해석하는 방법입니다. 즉, 웹 문서의 텍스트 / 이미지 / 표 등 모든 요소는 모두 객체라는 것 입니다. document document는 웹 문서 자체를 가리키는 DOM 요소 중 하나입니다. document는 웹 문서 자체를 가리키기 때문에 웹 문서의 요소에 접근해서 수정을 할 수 있습니다. DOM 트리 웹 문서의 태그는 요소 노드로 표현합니다. 태그가 품고있는 텍스트는 해당 요소 노드의 자식 노드인 텍스트 노드로 표현합니다. 태그의 속성은 모두 해당 요소 노드의 자식 노드인 속성 노드로 표..

공부단 6일차 입니다. Array 객체 여러 개의 항목을 하나의 변수에 저장하려면 배열을 사용해야 합니다. 자바스크립트에서는 배열을 쉽게 만들고 다를 수 있도록 내장 객체에 Array객체가 만들어져 있습니다. 인스턴스 만들기 var arr = new Array() // 초깃값이 있는 경우 var seasons = ["봄", "여름", "가을", "겨울"] // 리터럴을 사용한 배열 var seasons = new Array("봄", "여름", "가을", "겨울") // Array 객체를 사용한 배열 배열에서 for문 사용 배열에 몇 개의 요소가 있는지 확인하려면 Array객체의 length속성을 사용합니다. for(var i = 0; i < seasons.length; i++) { console.log(..

공부단 5일차 입니다. 객체란? 객체는 복합 자료형입니다. 복합자료형이라고 하는 이유는 객체 안에 숫자, 문자열 등 여러 가지 자료형이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객체는 자료형이기 때문에 자바스크립트에서 객체는 자료를 저장하고 처리하는 기본 단위입니다. 객체의 구조 var book = { title: "자바스크립트", // 제목 author: "홍길동", // 저자 pages: 500, // 쪽수 price: 15000 // 가격 } 객체의 종류 내장 객체 Date, Number, Boolean, Array, Math 등 입니다. 문서 객체 모델(DOM) 웹 문서 자체를 담는 Document 객체, 웹 문서 안의 이미지를 관리하는 Image 객체 등이 있습니다. 브라우저 객체 모델 사용중인 브라우저 종류나 버..

공부단 3일차-4입니다. while문과 do while문 이전에 배운 for문은 횟수가 정해져 있을 때 사용하기 좋고 while문은 횟수보다는 특정조건이 만족하는 동안에만 반복할때 사용하기 좋습니다. while문과 do while문의 차이점은 while문 조건을 먼저 확인하고 조건이 참이면 반복문이 실행됩니다. 반면에 do while문은 반복문이 일단은 한번 실행한 후 조건을 확인한다는 점이 다릅니다. var i = 0 while(i < 10) { console.log("true이면 반복") i += 1 } var i = 0 do { console.log("true이면 반복") i += 1 } while(i < 10) 팩토리얼 계산 var n = prompt("숫자를 입력") var nFact = 1 /..

공부단 3일차-3입니다. for문 사용법 // 1부터 5까지의 합 var sum = 0 for(let i = 1; i < 6; i++) { sum += i } console.log(sum) - for문의 기본구조 for(카운터 변수; 조건식; 카운터 변수 조절) { 반복문 코드 } - 카운터 변수 : 반복할 횟수의 초깃값입니다. 위의 경우 i = 1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뜻은 i라는 변수는 반복할 카운터 변수이고 초깃값이 1이라는 뜻입니다. - 조건식 : i가 몇 번 반복할 것인지의 조건식입니다. i < 5 혹은 i < 10 등 i가 어디까지 반복할 것인지에 대한 조건식입니다. - 카운터 변수 조절 : 이전에 배운 증감연산자를 활용해서 카운터 변수를 조절할 수 있습니다. i++이면 i는 반복문이 한번 ..

공부단 3일차-2입니다. 조건이 많을 경우 사용하는 switch()문 var session = prompt("관심 세션 선택\n1-마케팅 2-개발 3-디자인", "1") if(session != null) { switch(session) { case "1": document.write("마케팅") case "2": document.write("개발") case "3": document.write("디자인") } } else { alert("취소") } section의 값을 입력 받고 그 값이 '1'일 경우 '마케팅'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그 값이 '2'일 경우 '개발'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그 값이 '3'일 경우 '디자인'을 화면에 출력합니다. 만약 값이 없다면 취소 알림 창을 띄웁니다.

공부단 3일차-1입니다. if문 사용법 if(조건) { // 조건이 true일 경우 } else { // 조건이 false일 경우 } 3의 배수 구하기 var num = prompt("숫자를 입력하세요") // document.write(typeof(num)) // string if(num != null) { num = parseInt(num) if(num % 3 == 0) document.write("3의 배수") else document.write("3의 배수가 아님") } else { alert("취소") } prompt로 입력받은 것은 string형이기 때문에 parseInt()로 정수형으로 변환해줘야 합니다. 조건연산자 // 조건 ? 조건이 true일 경우 : 조건이 false일 경우 var s..

공부단 2일차-3입니다. 산술연산자와 할당 연산자 연산자이름 기호 설명 더하기 + c = a + b 빼기 - c = a - b 곱하기 * c = a * b 나누기 / c = a / b 나머지 % c = a % b 증가 ++ a++ 감소 -- a-- += y += x -= y -= x *= y *= x /= y /= x %= y %= x currentYear - birthYear + 1 피연산자 : currentYear, birthYear , 1 연산자 : -, + 할인 가격 계산 프로그램 만들기 원래 가격 원 할인율 % 할인 가격 계산하기 function showPrice() { var originPrice = document.querySelector('#oPrice').value // 입력한 값 받아오..

공부단 2일차-2입니다. 자료형의 종류 자료형 설명 기본형 number 숫자 string 문자열. '' 혹은 ""로 묶어 표현 boolean 참과 거짓 두 가지 값만 가짐 undefined 자료형을 지정하지 않았을 떄 유형(값을 정의하지 않은 변수) 복합형 null 유효하지 않은 값 array 배열 object 함수와 속성이 포함된 유형 자료형을 확인하는 연산자 - typeof 연산자 정수형&실수형 정수와 실수 둘다 number로 나옵니다. 즉, 둘 다 숫자형입니다. 문자형 논리형 undefined와 null undefined는 처음부터 변수에 값이 할당되지 않았다 는 의미입니다. undefined자료형이 아닙니다. null은 처음에 할당된 값이 유효하지 않다 라는 의미입니다. 보통 변수를 초기화 할 때..

공부단 2일차-1입니다. 변수란? 변하는 값을 저장할 때 사용합니다. 변수의 예) name, age, student, user, gender, ... 등 상수란? 변수가 변하는 값이면 상수는 변하지 않는 값입니다. 변수를 선언하는 3가지 규칙 변수명은 의미있게 짓는다. 두 개의 단어 이상을 연결할 경우 카멜표기법을 사용한다.(혹은 _를 사용한다) 카멜표기법: userName, currentYear, userAge, ... 등 첫 글자는 반드시 문자, _, $ 기호로 시작해야 한다. 변수에 값이나 식 저장하기 var name = "Jun" var age = 23 var birthYear = 2000 나이 계산 프로그램 만들기 나이 계산하기 (결과 값 표시) function calc() { const cur..